이번 포스팅에서는 AWS의 RDS를 생성하고, 이미 생성한 EC2와 연결하는 방법을 적어보겠습니다.
1. RDS 데이터베이스 생성
(1) AWS > RDS >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베이스 생성에 접근한다.
(2)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
본인이 사용할 엔진 유형과 엔진 버전을 설정한다.
역시나 과금을 막기 위해 프리티어로 템플릿을 선택한다.
추후 DB를 연동할 때 꼭 필요한 정보이므로 DB 인스턴스 식별자, 마스터 사용자 이름, 마스터 암호를 꼭 따로 메모해두어야 한다.
위 구성은 프리티어 정책에 따라 기본값으로 유지한다.
외부에서 DB 접근이 가능하도록 퍼블릭 엑세스 항목을 "예"로 설정하고, VPC 보안 그룹을 새로 만든다.
초기 DB 이름 지정을 위해 추가 구성에서 이름을 작성한다.
2. RDS와 EC2 연결하기
(1) 생성한 RDS 정보에서 VPC 보안그룹에 접근한다.
(2) 인바운드 규칙을 편집한다.
소스를 EC2의 보안그룹 코드로 설정하여 추가한다. 이렇게 하여 EC2에서 RDS 접근이 가능해진다.
3. RDS 접근하기 (MySQL Workbench)
(1) MySQL Workbench에서 새 DB를 세팅한다.
(2) 아래와 같이 정보를 입력한다.
Hostname = RDS의 엔드포인트
Port = RDS의 포트번호
Username = RDS의 마스터 사용자 이름
Password = RDS의 마스터 암호
(3) Test Connection을 통해 확인한다.
Success가 뜨면 접근이 되었다는 뜻이다. 아래와 같이 접근이 가능하다.
3. RDS 접근하기 (EC2)
(1) EC2 인스턴스에 연결하여 접속한다.
접근하는 방법은 아래 포스팅 참고
(2) MySQL을 EC2 서버에 설치한다.
sudo apt install mysql-client-core-8.0
(3) MySQL에 접근한다.
mysql -u {마스터사용자이름} -p -h {엔드포인트}
이후 password까지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접근이 된다.
'Cloud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2. nginx 적용 및 포트포워딩 (0) | 2024.02.05 |
---|---|
[AWS] #1 서버 배포를 위한 EC2 생성 (1) | 2024.02.05 |
클라우드 서비스 - IaaS, PaaS, SaaS (0) | 2024.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