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존성주입
[스프링 이것저것] 의존성 주입 (DI) 개념 & 방법
의존성 주입 의존성 주입 = Dependency Injection = DI 프로그램 디자인이 결합도를 느슨하게 되도록하고 의존관계 역전 원칙과 단일 책임 원칙을 따르도록 클라이언트의 생성에 대한 의존성을 클라이언트의 행위로 분리하는 것 by 위키피디아 의존 관계란? A가 B를 의존한다 = 의존대상 B가 변하면 그것이 A에 영향을 미친다 다양하게 의존 관계를 맺으려면 인터페이스로 추상화 해야 함 ⇒ 실제 구현 클래스와의 관계는 느슨해지고 결합도가 낮아짐 의존 관계 주입이란? 의존관계를 외부에서 결정하고 주입하는 것 클래스 변수를 결정하는 방법 = DI를 구현하는 방법 런타인 시점의 의존관계를 외부에서 주입하여 DI 구현 완성 DI 장점 의존성/종속성 ↓ : 변화가 있더라도 수정할 일이 적다 재사용성 ↑ :..

[스프링 입문] Section4. 스프링 빈과 의존관계
컴포넌트 스캔과 자동 의존 관계 설정 화면을 붙이려면 Controller와 View template이 필요 Member Controller가 Member Service를 통해 회원가입하고 조회할 수 있어야 함 ⇒ 의존 관계가 있다 표현 == 멤버 컨트롤러가 멤버 서비스를 의존한다 /src/main/java/hello/hellospring/controller/MemberController.java 생성 MemberService를 Spring Contaioner로부터 받아 쓰도록 ⇒ 새로 생성할 필요 X, 하나만 가져와서 같이 쓰는 것이 나음 결론 : 스프링 컨테이너에 하나만 등록하여 가져다 쓰기! @Controller public class MemberController { private final M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