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파이썬] 2161번 카드1

    2161번 : 카드1 문제 N장의 카드가 있다. 각각의 카드는 차례로 1부터 N까지의 번호가 붙어 있으며, 1번 카드가 제일 위에, N번 카드가 제일 아래인 상태로 순서대로 카드가 놓여 있다. 이제 다음과 같은 동작을 카드가 한 장 남을 때까지 반복하게 된다. 우선, 제일 위에 있는 카드를 바닥에 버린다. 그 다음, 제일 위에 있는 카드를 제일 아래에 있는 카드 밑으로 옮긴다. 예를 들어 N=4인 경우를 생각해 보자. 카드는 제일 위에서부터 1234 의 순서로 놓여있다. 1을 버리면 234가 남는다. 여기서 2를 제일 아래로 옮기면 342가 된다. 3을 버리면 42가 되고, 4를 밑으로 옮기면 24가 된다. 마지막으로 2를 버리고 나면, 버린 카드들은 순서대로 1 3 2가 되고, 남는 카드는 4가 된다...

    [백준][파이썬] 10845번 큐

    10845번 : 큐(queue) 문제 정수를 저장하는 큐를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여섯 가지이다. push X: 정수 X를 큐에 넣는 연산이다. pop: 큐에서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size: 큐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empty: 큐가 비어있으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front: 큐의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back: 큐의 가장 뒤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입력 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1 ≤ N ≤ ..

    [알고리즘][파이썬] 큐, 스택 / queue, stack

    CS 자료구조 중 가장가장 기본적이고 가장가장 쉬운 것.. 고마워 올해 1학기에 자료구조 수업을 들었는데.. 내가 알던 CS 세계는 작고도 작았구나를 깨우쳐 준 과목이었다.. 아무튼 레쮸고 큐와 스택 (queue&stack) 자료구조의 한 종류 ( 자료구조 : 데이터를 표현하고 관리하고 처리하기 위한 구조 ) 자료를 일렬로 보관 자료를 넣는 동작 & 자료를 빼는 동작 가능 삽입(push), 삭제(pop) 함수로 구성 오버플로와 언더플로도 같이 고민 필요 오버플로 : 특정 자료구조가 수용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가 이미 가득 찬 상태에서 삽입 연산 수행 시 발생 언더플로 : 자료구조에 데이터가 없는 상태에서 삭제 연산 수행 시 발생 큐 (queue) 작업들이 처리되기 전에 대기 중인 선형 리스트 자료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