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2

    [스프링부트와 JPA 활용 1] Section1. 프로젝트 환경설정

    프로젝트 생성 1. SpringBoot Starter 접속 (Spring Initializr) 2. 설정 3. 세팅 여부 확인 아래와 같이 JpashopApplication의 메소드 실행을 하게 되면, 실행 성공 시 Tomcat started on port(s): 8080 문구가 뜬다. 이후 웹페이지에서 아래 화면을 확인해주면 된다. + 테스트 코드도 확인 4. 플러그인 설치 롬복 사용시 Getter, Setter를 모두 만들어 준다. 라이브러리 살펴보기 1. cmd 창에서 확인 가능 (루트 폴더에서 열기) 2. IntelliJ에서 확인 가능 View 환경설정 Thymleaf 템플릿 엔진을 사용할 예정 (Thymeleaf) Thymeleaf Integrations galore Eclipse, Intell..

    [스프링 입문] Section6. 스프링 DB 접근 기술

    기존에는 메모리에 저장하는 방식 실무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들을 저장하여 관리 스프링이 JDBC template 기술 제공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베이스로 SQL을 편리하게 날릴 수 있음 JPA를 쓰면 객체를 바로 DB에 쿼리 없이 저장 가능 스프링 데이터 JPA : JPA를 편리하게 쓸 수 있도록 한 번 감싼 기능 H2 데이터베이스 설치 https://www.h2database.com/html/download-archive.html 에서 1.4.200 버전 설치 1. 데이터 베이스 파일 만들기 JDBC URL : 내 파일 경로 이후에 파일로 접근하면 애플리케이션과 웹 콘솔이 동시에 접근이 안될 수 있음 이후부터는 JDBC URL : jdbc:h2:tcp://localhost/~/test 파일 직접 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