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de

    [이론] 데이터 전처리, 색인 관리, 시각화

    1. Elastic 데이터 기본 구조 (1) 클러스터 구조 클러스터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2) 노드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단위 중 하나 elasticsearch onprem으로 설치할 수 있다. 노드는 클러스터로 가용성 때문에 묶어주어야 한다. 노드 하나가 죽어도 다른 노드가 가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노드는 최소 3개 이상인 홀수 개를 설정해야 한다. 3개 이상이 권장된다. 서버 당 노드는 1개이다. 클라우드 생성 시에 설정한다. 별도 설정이 없을 때 http port #는 9200, tcp port #는 9300이다. 클러스터를 여러 개 두어 통신 가능하다. cluster.yml에 클러스터 번호를 작성해주어 구분하여 접근 가능하다. (3) 인덱스 구조 테이블과 동일한 개념이다. 인덱스의 기본..

    [알고리즘][파이썬] 그래프 / graph

    그래프 (graph) 원소 간의 관계를 표현한 자료구조 그래프의 기본 구조 노드(node)=정점(vertex)와 간선(edge)으로 표현 두 노드가 인접하다 : 두 노드가 간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노드1과 노드3은 인접하다 그래프 탐색 : 하나의 노드를 시작으로 다수의 노드를 방문하는 것 그래프의 표현 1. 인접 행렬 (Adjacency Matrix) 2차원 배열로 그래프의 연결관계를 표현하는 방식 2차원 배열에 각 노드가 연결된 형태를 기록하는 방식 연결되어 있지 않은 노드끼리는 무한의 비용으로 작성 (999999999,987654321) 자기자신은 비용이 0 0 1 2 0 0 무한 5 1 무한 0 3 2 5 3 0 INF = 999999999 #무한 graph = [ [0, INF, 5] [INF,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