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KT 랜선야학 활동 후기에 이어 KT 랜선야학을 활동하면서 진행했던
"AI 코딩 교육"에 대한 후기를 적어보려고 합니다.
AI 코딩 교육에 대한 후기는 적은 것 같아 많은 분들께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AI 코딩 교육이란?
KT 랜선야학에서는 국어, 영어, 수학 이외에도 멘토가 AI 코딩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는 정규 수업 시간 (주4시간) 이외에 진행되는 수업이며, 필수는 아니고 선택으로 진행할 수 있다. 처음 지원서를 낼 때와, 합격 후 수업에 대한 조사를 할 때 AI 코딩 수업을 진행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한다고 모두 가능한 것은 아니고 매칭된 멘티가 모두 AI 코딩 교육을 원해야지만 할 수 있다. 추가로 AI 코딩 교육을 시키는 그룹 수도 제한되어 있는 것 같았다.
AI 코딩 교육이라하면 어려워 보이지만 전 혀 어렵지 않다! 코딩에 관심 있는 문과생분들도 충분히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교육 과정과 교재 모두 랜선야학 측에서 알려주며, 사전 교육도 시켜준다!
우선 블록 코딩 기반이며 아래 사이트를 통해 코딩을 할 수 있고 교육 과정도 모두 볼 수 있다.
AI Codiny에 대해서 설명해보자면 랜선야학을 진행하면서는 총 두 가지 기능을 주로 사용하였다.
우선 "학습하기" > "교육자료" 메뉴에 접속하여 모든 교육 과정들을 확인할 수 있다. 영상 형태로 교육이 제공되며 챕터마다 주제가 있다. 주제에 대해 이론을 학습하고 코딩을 직접하며 구현하는 식으로 진행된다. ( https://aicodiny.com/edu-resource )
나도 교육자료들을 먼저 공부하고 이를 멘티들에게 전달하는 형태로 진행하였다. 이외에도 교육 자료들에서 더 추가로 생각해보면 좋을 것들, 자세한 이론들, 그에 대한 예시들, 그리고 코딩을 하면서 응용하여 구현해볼 수 있는 것들을 추가로 알려주며 수업을 진행했다.
다음은 "만들기" > "AI 블록코딩" 메뉴에 접속하여 코딩을 직접할 수 있다. 우리가 흔히 아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하는 코딩은 아니고 게임과 같은 형태로 구현을 하는 블록 코딩이다.
흔히 알려진 "스크래치"와 유사하다. 그런데 AI 키워드가 들어 있는 이유는 AI 기능을 하는 코딩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AI 학습도 시킬 수 있고, 여러 기본적인 데이터 셋도 제공되고, 지도학습, 비지도학습 바탕의 기능 등이 가능하다.
운영 과정
위에서 이야기 했듯이 AI 코딩 교육은 정규 수업 시간 이외에 진행이 되는데 총 16시간, 최대 18시간만 채우면 되고 정기적인 수업 시간이 필요하지는 않다. 나의 경우에도 3-4월에 시작하여 격주 혹은 멘티들 스케줄을 고려하여 유동적으로 수업 시간을 정했고 다른 멘티분들도 한 달에 몰아서 수업하시기도 하였다. 이 점이 그래도 덜 부담되어 큰 장점으로 와닿았다.
수업 진행은 주로 교재에 있는 이론 학습을 하고 이론을 응용할 수 있는 블록 코딩을 진행했다. 멘토인 내가 화면 공유를 해서 코딩 과정을 단계적으로 알려주었고 멘티들이 하나하나 따라할 수 있도록 기다려주었다. 멘티들한테 오류가 생겼을 땐는 멘티들이 화면 공유를 해서 오류들을 고쳐주며 수업을 진행했다.
AI 코딩 교육은 수업 진행뿐만 아니라 프로젝트로 꼭 산출물 제출을 해야 한다. 주어진 수업 시간 내에 교육, 프로젝트도 진행해야 한다. 5기 때 주제는 ESG, 시민 관련된 것이었고 멘티들이 주제를 잡고 구체화할 수 있도록 옆에서 서포트를 해주었다. 우리 멘티들은 ESG를 주제로 퀴즈쇼를 만들었다. 수업 시간에 같이 구체화를 하고, 컨텐츠를 제작하고, 역할분담을 하였다. 멘티들이 협업 경험도 쌓으면 좋을 것 같아서 협업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역할 분담을 했을 때 고려해야 할 사항 (변수명, 자료형 등)은 무엇인지 알려주며 지도하였다.
AI 코디니에는 협업 기능은 없기 때문에 다른 계정들이 같은 프로젝트에서 작업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내 수업에서는 각자의 계정에서 각자 맡은 부분을 구현하고 파일로 내가 전달받아 합쳐주었다. 합쳐주면서 보이는 오류들은 수업시간에 같이 다루며 해결 방법을 고민할 수 있도록 지도했다. 이외에도 프로젝트용 계정을 하나 생성하거나 멘티, 멘토 계정 중 하나를 지정하여 한 계정에서 돌아가며 작업하는 방법도 좋을 것 같다.
아래는 우리 수업에서 진행했던 AI 코딩 프로젝트이다.
최종 소감
결론적으로 AI코딩 교육을 추천하냐 묻는다면, 추천한다!
나도 블록 코딩도, 코딩 교육도 처음이었다. 하지만 진행하면서 배우는 것들도 많았고 다른 곳에서 IT 관련 발표를 할 때 어떻게 해야 더 설명을 잘할지 고민을 미리 할 수 있었다. AI 쪽은 공부해본 적이 없어서 사전 교육을 들으며 얻는 지식들도 쏠쏠했다. 그리고 멘티들이 기능이 하나 돌아갈 때마다 우와!우와! 하던게 아직도 기억이 나서 뿌듯함도 생겼었다. 🥹
전공생이 아닌 분들도 교양 수준과 컴퓨팅 사고력을 키우는 선에서 의미있는 지식과 경험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모든 분들께 좋은 기회로 추천드리고 싶다.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사] 2023 Dev Chat" 컨퍼런스 후기 (0) | 2024.01.23 |
---|---|
[해커톤] "SW중심대학 공동해커톤 2023" 참여 후기 (0) | 2024.01.19 |
[IT/SW 서포터즈] "스타트업 서포터즈 잇다(IT다)" 4기 활동 후기 (0) | 2024.01.18 |
[부트캠프] comento(코멘토) "데이터엔지니어 직무부트캠프" 수료 후기 (1) | 2024.01.18 |
[멘토링] "KT 랜선야학 5기,6기 서울" 우수 멘토자의 지원부터 수료까지의 후기 (0) | 2023.08.16 |